• 자유를 향한 풍경 (박태동)

    오랜 휴지기를 대 놓고 얘기 하는 것이 큰 의미가 없는 것 같다.
    다만 '예술'을 하는 사람으로 마음 한켠에 죄의식처럼 자리하고 있던 '작품함'에 대한 생각들을 이번 전시에서 풀어놓게 되었다.
    나는 공부를 그다지 즐기는 사람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대학을 들어온 이후, 비에 솜이 젖듯 공부가 되어있는 내 모습을 뒤늦게 발견하곤, 잠시 놀라본다. 모르고 있던 사실도 아니고, 거부해야할 의미도 별로 없는데, 난 이른바 아카데미즘이랄지, 현학적이랄지 등으로 표현되어질 수 있는 '공부'가 되어 있었다라는 말이다.
    물론 그것의 깊이는 그다지 깊지 않을 지언정...엷게 웃는다. 감사함을 느껴서이다.
    얄팍하나마 공부가 되어있다는 감사함도 물론 있으며, 필시 과분한 무게를 느껴서일 수도 있다.
    무겁다.
    자유롭고 싶고, 또 그러려 하지만, 난 내가 알고 있는 어느 예술가들의 자유를 시기하고 있으며, 아니 더 정확히 얘기하자면 흠모하고 있다고 봐야할 것이다.

    예술품을 이루는, 혹은 감상하는 다양한 코드들이 있다.
    그게 쉽지 않은건 당연하다. 아주 예전부터 '기성세대 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신세대의 언어들...'정도의 제목으로 보통 어린 세대들 사이에서 통용되는 이해하기 어려운 은어들을 질책하고, 또 문제 삼곤 한다.
    그리고 그런 이해 못할 은어들로 이루는 말의 내용을 문제 삼는다.
    또한 질책하던 그들이 성장하면, 해당 시기의 그것에 대해서 이해 못하고, 어쩌면 안하고 질책해댄다.
    예술에선...이 경우를 새로움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사실은 예술품을 만드는 아주 많은 예술가들이 거의 다른 은어들을 만들어서, 무언가를 주장하게 되는데, 문제는 그 은어들은 어떤 특정한 집단들만이 이해하게 되며, 그 수는 위의 문자언어가 은어화 되는 집단의 수보다 현저히, 그것도 비교할 수도 없을 만큼의 소수만이 이해를 하고 있다는 사실이며, 아마도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해했다고 하는 사람들도, 서로들 다른 해석본을 들고 나올 것이 분명하다.
    세상에서 문자로 된 언어조차 해석을 달리할 판이니, 당연한 일이다.

    그런 허망한 일을 하고 있다.
    헌데, 과연 얼마만큼의 사람들이 나의(혹은 여느 작가들의) 조형화된 이야기의 내용을 이해하고 가는가에 대한 의문의 결과를 예측 해볼 때 나의 결론은 좀 슬프다. 대략 절반 정도의 사람들은(예술을 직업으로 갖고 있는 사람들을 포함해서) 내용을 전혀 이해하지 않았거나, 그려러는 의지가 없었을 가능성이 많다. 도리어 예술을 공부하지 않은 사람들이 궁금해서, 비치된 자료를 뒤적이거나, 때론 작가에게 질문을 해서, 아니면 독자적인 해석의 방식을 갖고서, 이를 훨씬 더 정확하게 이해했을 가능성이 많다.

    서론이 참으로 길었다.

    난 심각하지도 않고, 현학적이 않은, 하지만 나의 일상에 존재하는 이야기를 역시 스스로의 은어들로 구성한다. 교육받은(?) 맞춤법에 대한 질책이 두려워지지 않은 것이 비교적 최근의 일 이었고, 이런 나의 표현들을 보여주고 싶은 것이었다.
    물론, 동종 업계에 종사(!)하는 사람들과, 이런 이야기를 공유하는 것에도 매우 큰 의미를 갖고 있는데, 문제는 내가 일 년 넘게, 게다가 가을 전시인 관계로 유난히 더운 여름을 이 전시준비로 고생을 한 것에 비하여, 너무 적은 사람들이 나의 전시를 다녀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 사실 어느 정도 예상했었기에 이 도록을 후에 만들기로 한 것이며, 또 이곳에 내 스스로 이 글을 쓰게 되는 것이다.
    한편, '관심'만으로도 읽혀지고, 그 관심이 '애정'으로 될 때 나의 표현들이 '재미있는 것'이라고 보는 이들이 생각하게 된다면 나는 아주 행복해 할 것이다.


    자유를 향한 풍경 - 2
    이 전시를 보는 시점은 이렇다
    조각에서 작품을 이루려는 무수한 입장 중에서 대여섯 가지 방법을 택한다.
    그 방법들은 이미 독자적으로 많은 연구가 되어 있고, 모종의 결론도 갖고 있다고 보인다.
    그러나 나는 아주 뻔뻔스럽게 그 방법들을 혼재시킨다.
    그리고 그 표현들로 해서 충돌되는 상황을 지켜보게 된다.
    인체의 모습으로 표현된 이야기와, 간단히 정리된 금속의 속성을 나타낸 덩이와, 즉물적으로 표현한 개체와 또... 몇 가지 다른 방법들.
    정성껏 만들어진 좌대, 물질 자체의 상황들, 오브제....
    이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일이 이렇게 쉬울 줄은 잘 몰랐다.
    알고 있었다 하더라도 모아볼 생각도 하지 않았던 것 같다.
    모아 봤다.
    그것은 속 시원한 풍경으로 내게 돌아왔고.
    과연 내가 원하고 있던 문장이 아니었나 생각하게 된다.
    이제사 나의 문체가 나온 셈이니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게 된다.
    소소하고, 예민하고, 재미있는 이야기들이다.

    거기에선 이전에 어떤 개체들 사이의 간격에서 오는 여유와 긴장을 찾게 된다.
    이 일에는 대개의 사람들이 묵시적으로 갖고 있는 공통분모가 있다.
    증명된 법칙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지만 다른 사람들 끼리 상당히 유사한 감성을 느끼는 것을 볼 때,
    일정한 공간의 긴장을 느끼는 방식이 인간에게 공통적으로 있다는 것이다.
    물론! 그편차가 어찌 없을까마는 그것까지 내 마음대로 다루려한다면 욕심이 좀 과한 것이겠다.

    2005. 9 박태동




    Scene Towards Freedom I

    There is no profound meaning in talking about the long dormant term without any hesitation. It is just a thought on 'making works' that I let off leash in the show, and cherished some kind of guilt feeling. I have no thought of myself as a man enjoying study. However, since entering fine art college, like drizzle soaks cotten ball, I astonishingly find myself a learned man sometimes.
    Yet it is not a sudden fact nor a objectable meaning, now I am 'learned' as in saying academic or pedantic person.
    Of course, the depth of that learning is not so deep though... and I make a gleaming smile. For I feel thanks. It may be a thank for being a learned yet shallow, or a thank for feeling too heavy weight for me.
    It is heavy.
    I want to be free and I am trying to be, I envy the freedom of some other artist I know, or to be precisely, I admire them.
    There are many codes to establish art, or to understand art.
    It is not easy of course. From the old times, the title of 'the new age language that old timers would never understand...'has been used by the new age generation as a jargon and that is often to blame and being an issue.
    And they criticize the contents of the text made of undecipherable jargons.
    When they who were criticizing it have grown, they do not or can not understand the era and go on criticize.
    In art world... this case is often called the newness.

    In fact so many artists who create works almost make different parlance to insist something. The problem is that each parlance can be understood among only some groups and the number of those are much smaller than that of the groups where the text language become a parlance, even impossible to compare. If we examine closely, among those who understood it so many different version of the text must be come out.
    It is not a striking fact even the language made of text has different interpretation.
    I am working on such a futile territory.

    Well, to question how many of them understand my or the artists' story of plastic language, my conclusion or answer would be somewhat sad. Around half of them including professional artists are never understood, or more possibly, having no intention to understand.
    On the contrary, it is more possible to have understood my story for those who have not studied art by curiosities, skipping the pamphlets on the showcase, questioning the artist by themselves, or by the independent way of interpretation.

    Preface was too long.

    I compose my story which is not serious nor pedantic but interesting in the usual life with my own parlance. Recently, I am not afraid of the blaming on educated(?) dialogue and I want to show such expression of my own.
    Sure to say, it has significant meaning to share such a story with the people who devoted in same profession(!). What matters here is they were too little who came by my show compared to the fact that I had prepared the show for more a year and suffered a lot from the extraordinary hot weather of last summer because the show held in fall.
    Therefore, I had expected something like this earlier and decided to make my pamphlet as post-show, also wrote this myself.
    In time they read my work only with 'interest' and their interest become 'affection', I will be much happy if they think my work 'amusing'.

    ***

    Scene Towards Freedom-II

    The perspective to see this show is like below:
    Choose five or six ways of many trends to establish works in sculpture.
    The ways will be appear right when they have been independently studied in various attitude.
    But I, very brazenly, am blending them into one.
    And I watch the situation where the works collide against each other.
    The narrative expressed in figures, the mass representing ordered materiality of metal, the pieces done pre-existentially, the pedestal made with a great effort, the situation of the material beings themselves, the objects... and so on.

    I didn't know well it is so easy to gather them in one site.
    If I had known it, I would not given thought of it.
    I tried to gather them.
    They are returned to me with a refreshing scene
    and I think that is the very sentence which I have yearned for.
    At last I have found my style and so I make a story what I want to tell.
    They are trivial, sensitive, and interesting story.

    There, we become to find relaxation and tension deriving from the gap among certain pieces of earlier stance.
    There is a common denominator taken by most people with a silent tongue in this fact.
    There is not a proven principle about it as far as I know, I mean a certain way of noticing tension of the space is common to people, for we can see them sharing with the others much similar sense.

    Surely why not there is no difference!
    To dealing with that difference at my own will is a too much greed of mine I guess.

    Sep. 2005. Park. TaeDong wrote

  • 하찮음에 대한 경배 -박태동의 개인전에 …

    너, 내 전시회에 대해서 글 좀 써봐라. 그가 마치 화두를 던지는 고승처럼 그렇게 뜬금없는 숙제를 툭 던져줬을 때 나는 아연 긴장했다. 내가 워낙 다양한 장르의 글을 써서 밥을 먹고는 있지만 미술평론이라면 언감생심 꿈도 꿔본 적이 없는 탓이다. 하긴 미술평론뿐이 아니다. 한 20여년 쯤 전, 내가 이른바 문단이라는 곳에 발을 들여놓을 때, 처음 쓴 글이 문학평론이었다. 악의에 가득 찬 [조세희론]을 써내고는 득의만만해하고 있다가 얼마 후 직접 당사자를 만날 기회를 얻게 되었는데 내 평생 그토록 부끄러웠던 적은 따로 없었다. 내가 했던 고민은 그가 품었던 고뇌의 100분의 1도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된 것이다. 그 이후로 나는 어떤 종류의 평론도 결코 쓰지 않으리라고 굳게 다짐했고 실제로 지금까지 그렇게 살아왔다. 그런 내게 미술전시회에 대한 글을 써보라니? 하지만 박태동은, 언제나 그러했듯, 아무렇지도 않게 쉬운 답변을 되돌려주었다. 네 맘대로 써, 형식이고 내용이고 네 꼴리는 대로. 그것이 지금 현재 내가 이 글을 쓰고 있는 연유다. 그러므로, 행여라도 미술작품에 대한 어떤 고견 같은 것을 기대한다면, 이 글을 읽지 않는 것이 나을지도 모른다.
    누군가가 내게 가장 친한 고삐릿적 친구를 꼽아보라 한다면 나는 주저없이 박태동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과연 제일 친한 친구로 꼽을 만큼 그렇게 잦은 만남을 가졌던가 하고 반문해본다면 대답은 부정적이다. 우리는 거의 30년에 이르는 세월을 이 비좁아터진 한반도 내에서 함께 보내면서 그다지 자주 만나지 못했다. 내가 기억하는 그와의 만남은 가령 이런 것들이다. 고등학교 미술부실에 숨어서 아그리파 밑에 숨겨놓았던 담배꽁초를 나누어 피우기, 덕수궁 안의 버려진 고건물 지하실에 만들어놓았던 우리들만의 아지트, 껄렁한 친구들을 끌어모아 학교수업을 거부하고 교문을 막차고 나섰던 일, 각자의 애인을 파트너로 하여 땀을 뻘뻘 흘리며 쳤던 복식탁구, 삼청동 밀주집에서 정신을 잃을만큼 마셨던 막걸리. 돌이켜보면 그리운 나날들이다. 그 유치하되 찬란했던 청춘의 기억들은 빛바랜 한 장의 스틸사진이 되어 지금도 내 뇌리 속에 아련히 각인되어 있다.
    언제였던가 개차반으로 술에 취해 그의 집에서 함께 잔 적이 있다. 이튿날 아침, 잠이 덜깬 나를 억지로 일으켜 세운 그가 바삐 길을 나섰다. 그가 나를 데리고 간 곳은 다름 아닌 그의 학교 미술대학 앞마당이었다. 해가 희뿌윰하게 떠오를 무렵, 그는 나를 등 뒤에 방치해놓은 채 돌을 깨기 시작했다. 나는 쓰라린 위장 위로 다 식은 커피를 부어넣으며 멍하니 그를 바라보고 있었다. 아마도 나는 그때 일종의 질투 같은 것을 느꼈던 것 같다. 조각이라는 것은 참 멋진 작업이로군. 저렇게 역동하는 근육 위로 굵은 땀방울을 떨구며 하는 창작활동이란 얼마나 가슴 후련한 일일지. 돌 깨는 소리가 새벽의 교정 안에 맑게 울려 퍼지고 있었다. 깨진 돌조각이 아침햇살 속에 독창적인 파문을 일구고 있었다. 나는 홀로 작업에 몰두하고 있는 그의 뒷모습을 하릴없이 바라보면서 담배 한 갑을 모조리 피워버렸던 것으로 기억한다. 내가 기억하고 있는 그와의 만남 중에서 가장 인상적인 한 컷이다.
    조각가로서의 박태동에 대해서 나는 달리 할 말이 없다. 내가 아는 것은 단지 그가 ‘물성(物性)’에 대하여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 작가라는 사실이다. 그는 돌과 나무와 석고와 알루미늄과 무쇠의 속살을 안다. 그가 이 모든 존재들과 정면으로 마주 서서 그것들을 깎고 두드리고 휘고 비트는 모습을 바라보고 있노라면 왠지 모르게 에로틱한 느낌마저 든다. 흡사 오래된 애인들의 질퍽한 사랑놀음을 그들 몰래 훔쳐보고 있는 듯한 느낌이다. 그는 돌과 대화를 나누고, 석고와 장난을 치고, 나무를 애무하고, 알루미늄과 교합하며, 무쇠와 싸운다. 나는 이 모든 창작행위의 핵심을 관통하고 있는 것이 혹시 ‘유희(遊戱)’가 아닌가 넘겨짚어 본다. 내 기억 속에 그의 유희정신을 가장 행복하게 만끽할 수 있었던 것은 1998년에 열렸던 5번째 개인전 <오후에 생각하는 것들>이었다. 그가 평면의 무쇠를 이리 저리 자르고 비틀어 만들어 놓은 그 ‘행복한 무의미함의 향연’은 참으로 나른하고 아름다웠다.
    인간으로서의 박태동에 대해서라면 나는 몇 마디쯤 주워섬길 수 있을 것 같다. 우리가 그토록 자주 만나지도 않으면서 무려 30년에 이르는 세월을 함께 보낼 수 있었던 까닭은 무엇일까 생각해본 적이 있다. 그것은 삶에 대한 어떤 태도 혹은 기질 같은 것과 관련이 있을 성 싶다. 이를테면 그와 나는 삶에 대한 어떤 태도를 공유하고 있다는 뜻이다. 고교시절의 우리는 ‘삶의 비밀을 너무 일찍 눈치채버린 소년’들이었다. 우리가 너무 일찍 간파해버린 비밀들이란 어떤 것일까? 삶에는 아무런 의미도 없다. 개인의 삶이란 결코 일반화시킬 수 없는 그 무엇이다. 하지만 삶의 무의미와 개별성을 견디어내지 못하는 사람들은 그것을 제멋대로 재단하려 든다. 그래서 만들어낸 것이 종교와 이념이다. 나는 괴롭더라도 삶의 무의미를 직시할 것이다. 결코 종교나 이념 따위에 기대어 서툰 거짓말로 자신과 세상을 속이려들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생각들은 어쩌면 나 혼자만의 것으로, 실제의 박태동과는 전혀 무관한 것일 수도 있다. 다만 내가 파악하고 있는 나와 그의 공통된 어떤 태도가 이런 것이지 않을까 싶다는 뜻이다. 그리고 나는 생각한다. 종교와 이념의 반대편에서 외로우나 자부심에 넘치는 자세로 우뚝 서 있어야 하는 것이 예술이어야 한다고.
    박태동의 조각작품 역시 나는 그렇게 바라본다. 삶의 무의미에 맞서고, 받아들이고, 오히려 그것을 즐기는 과정. 종교와 이념과 저 잘난 자본주의에 대하여 콧방귀조차도 아깝다고 여길 만큼 철저히 무시하는 부정의 정신. 적어도 이번 전시회 이전까지의 그의 작품들을 나는 그렇게 본다. 하지만 이번 작품들을 보며 나의 생각에는 변화가 일었다. 작품에 임하는 기본적인 태도가 달라진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 위에 덧붙여진 것 혹은 마치 아우라처럼 어렴풋하나마 분명하게 감싸고 있는 어떤 것이 생긴 듯하다. 이 새로운 변화를 도대체 무엇이라 이름 붙여야 할까? 나는 그의 화실에서, 그의 작업실에서, 그리고 작품도록을 찍기 위하여 미리 방문한 이번 화랑에서, 그의 최근작들을 물끄러미 바라보며 스스로 자문해보았다. 어쩌면 그것은 나 스스로에 대한 질문인지도 모른다. 그리고 나는, 미술평론가가 아니므로 오히려 뻔뻔스럽고 자유롭게, 그의 작품세계에서 목도되는 새로운 경향에 대하여 이렇게 이름붙이기로 했다. 이번 개인전을 관통하고 있는 그의 주제는 ‘하찮음에 대한 경배’이다.
    박태동은 이번 전시회를 통하여 처음으로 자신의 자화상을 조각으로 만들어 출품했다. 그 조각작품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자니 왠지 모를 슬픔 혹은 연민 같은 것이 느껴졌다. 여기엔 두 가지 모습이 다 들어있네. 반항적이고 자부심이 강한 소년 박태동, 그리고 이제는 세상살이에 많이 지친 중년사내 박태동. 내가 그렇게 말하자 그는 피식 웃으며 고개를 끄덕였다. 만약 네가 그렇게 느꼈다면 내가 작품을 제대로 만든 거야. 지난 몇 년 동안 그는 삶의 쓰라린 고통들을 낱낱이 맛보았다. 하지만 그는 힘들다며 징징거리는 타입의 사내가 아니다. 이제 그는 다시 조각가로 우리 곁에 돌아왔다. 이번 전시회에서 가장 나의 눈길을 끄는 것은 그의 조각 그 자체가 아니라 그 조각들을 떠받들고 있는 받침대(pedestal)들이다. 더 정확하게 표현하자면 자신의 작품들을 근사한 받침대 위에 올려놓고자 하는 그의 마음이다. 삶에 대한 그의 태도가 바뀐 것은 아닐 것이다. 그는 여전히 비타협적인 작가정신을 고수하고 있는 예술가이다. 하지만 그는 이제 자신의 삶을 포함한 우리 모두의 삶에 대하여, 그리고 그것을 살아내는 과정에서의 찬란한 유희인 예술에 대하여 그에 합당한 경의를 표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그렇다. 우리의 삶이 하찮다한들 그것에 대한 경배마저 없다면 너무 쓸쓸한 일이다. 어쩌면 하찮음에 대한 경배야말로 예술가 본연의 임무가 아닐까 싶기도 하다.
    두서없는 글이 너무 길어졌다. 행여 이번 전시회에 대한 나의 극히 주관적인 해석이 오히려 그의 작품세계에 대한 올바른 해석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나 아닐지 걱정스럽기도 하다. 하지만 내가 아는 박태동은 설사 그런 일이 벌어진다 해도 크게 괘념할 사내가 아니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일은 단 하나, 그를 만나고 그의 작품세계를 즐기면서, 우리의 만남과 삶에 대하여 축배를 드는 것이다. 하찮음에 대하여 경배를, 하찮음에 경배를 표하는 예술가를 위하여 축배를!







    Giving honor to the triviality
    -On the occasion of Park, Tae-dong's Personal Exhibition

    Shim San(Writer, Representative of Shimsan School)

    Man, how about writing something on my show? When he tossed me an assignment like a zen master testing his pupil, I got tensed. Because, Though I make a living with a variety of writing on various genres, I have not dreamt of writing critics on fine art even in my wildest dream. Truly, it was not only critical writing on fine art. Some twenty years ago, when I entered so called writers' circles, my first written work was critical writing on literary. I was pompous with my vile writing on 'Cho Se-hee Essay' and after a while I personally had a chance to meet the very writer only to be shameful for myself like never before. Then I realized that my anguish was not even one to hundredth for his torments. Since then I decided that! I would never write any kind of critical one again and in fact I did so far. A guy like me write a critic on an art show ? Yet Park, Tae-dong, as always has been, gave me an easy direction. Suit yourself. Any form or content, write whatever you would like. These are reasons why I am writing here this essay. So, if you expect some noble comments on art, it may better to stop reading this now.
    If anybody asks me who could be the best friend in my old highschool days, I do not hesitate to recall Park, Tae-dong. However, questioning by myself wether we did meet so often to recall him my best friend, my answer is closer to no. We did not meet each other so often even we lived almost thirty years in this tiny peninsular. What I remember about him is like these: we shared butt ends behind the Agrippa statue hiding in the school art room; we had a den of our own in the abandoned building at Duksoo Palace; we skipped classes with some haughty fellows; we played table tennis in full sweat with our own girlfriends in double team; we drank the rice wine to faint at the hut bar in Samcheong-dong. I miss those old days. Those ! naive but glorious memories become a snap photograph in my mind still now.
    Once I was drunken deadbeat to stay night in his home. The morning after that night, he hurried me who barely got up to hit the road. Where he took me was stonework yard at the art college. When dawning came, he started to crack the rough stone just showing me his back. I poured cold coffee in my sore stomach and just watching him dull. Maybe I was feeling a kind of jealousy then. Carving is a wonderful work, I thought to myself. How fresh it feels while your muscles are sweating with such a creation! The sound of hammering the stone was echoing clearly in the workyard of early morning. I remember that I smoked a whole pack watching on his back indulging in his work. In my memories of him, it was a cut of the strongest impression I had.
    I have nothing much to say on Park, Tae-dong as a sculptor. What I know is just that Park, Tae-dong is an artist who possessed profound understanding on materiality. He knows the inner quality of stone, wood, plaster, aluminium and steel. Looking at him to carve, to hammer, to curve and to twist them, I even get some sort of erotic feeling. He makes dialogue with stone, plays with plaster, pets on wood, corresponds with aluminium and fights with steel. I presume that playing attitude is the core of these all creations. In my memories, the happiest enjoying on his 'playing attitude' was on his fifth exhibition in 1998, named "What I Think in the Afternoon". It was surely soft and beautiful experience that the party of meaningless happiness, where he cut and twisted steel in various modes.
    I can add some comments on Park, Tae-dong's humanities. I had once questioned myself what would be the reason to be able to spend more than thirty years together even we did not meet each other so often. It may be related to a kind of attitude or tendency to the life. That is, he and I have in common with the attitude to the life. In our teens, we were the boys who had broken the secret of life too early. What would be the secret that we broke too early? There is no meaning in life. The individual life is something that can not be generalized. But people who can not bear with the meaninglessness and individuality of life want to taylor it by their own will. So people invented religion and ideology. I will face the meaningless! ness of life even if it takes pain. I will never cheat on myself and the world by dull lies of religion or ideology. Those thoughts may be on my own and nothing have with Park, Tae-dong's. I just assume the common attitude which I share with him would be such. And I think: art should be stand tall in solitude but with pride on the other side of religion and ideology.
    I also watch his work likewise. It is a process of standing against the meaninglessness of life, a process of accepting the fact and, furthermore, enjoying the fact. It is a spirit of total negation to save retort of huh on the religion, ideology and the high profiled capitalism. At least, before this show, I watched his work so. However, my thoughts are changed by his work showing now. It is not the basic attitude that has changed. Yet, something seems to be added on them or surrounded them with aura. What shall I call this change? I asked to myself the question in his studio, in his academy, and the gallery where I visited to see him photograph works before opening, while watching him on. Maybe it would be a question for my! self. And I, for not being an art critic, brazenly and freely decided to label his new trend in this show like this: the main idea that run through his show is honoring to the triviality.
    Park, Tae-dong showed his self-statue first time in this exhibition. Seeing on his statue, I felt a kind of sorrows and compassion. Here exist the both of you together: a rebel and proud young boy and a middle aged weary man, Park, Tae-dong. When I said this, he noded with a grin on his face. If you felt that way, I might have made it right. For some years, he has experienced every bitter tastes of the world. But he is not a type of a guy who is whimpering about it. Now he has returned to us as a sculptor again. In his show, what captures my sight most is not his work but his pedestals. To depict more precisely, it is his desire put down his work on the nice pedestal. He is still an artist holding his unnegotiable spirit for ! art. However, now he wants to give the suitable honor to our lives including himself and to the glorious playing of art of living through it. Yes, though our lives are trivial, it would be too wasted if there is no honor for them. Maybe, honoring to the triviality would be a vocation of an artist.
    My meandering story has been too long. I worry that my self-oriented interpretation on his show might hinder the right way of understanding his work. But Park, Tae-dong I know is not a man to mind something like that really happens. Then, what should be done is only to celebrate and cheer with the grail to see him and to enjoy his works for our encountering and lives. Give honors to the triviality, and cheer with the grail for the artist who gives honoring to triviality!

  • ‘조각’들로 된 야생(野生)과 축제의 풍경 …

    1
    부정해봤댔자 예술의 욕망은 늘 삶이(었)다. 예술을 아버지 컴플렉스, 소외, 거세공포, 편집증으로 점철케 해 온 것도 삶이다. 불만과 반항심에 젖어있는 청소년 같은 예술, 그리고 그 ‘단절’의 가설은 오히려 삶에 대한 예술의 애증을 반증해 왔을 뿐이다. 예술은 여전히 삶을 향한 대립각, 긴장관계라는 존재론적 가설 속에서만 스스로를 설정할 수 있다. 예술의 황금기를 허락했던 실존과 탐미의 낯익은 대결을 보라. 실존이 급박할 때 자구나 맞추고 있을 순 없고, 깊이 형식을 추구할 땐 일상이 한낮 번잡스러움에 지나지 않는다는, 미(美)를 추방하는 실존과 따라서 그것을 등져야 하리라는 미의 언설....
    해서, 일상으로 향하는 교각을 수수고 배를 불사르라 외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의 삶을 문제투성이로 보건 존재 가능한 최선의 이상향으로 읽건, 스스로를 삶으로 향하는 나룻배로 보건 나룻배의 파괴로 정의하건 상관없다. 중요한 건 예술이 아버지-의붓아버지건 자애로운 부친이건-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이고, 아버지와의 이 (콤플렉스적)관계 속에서만 스스로를 규정할 수 있다는 사실이다. 일테면, 예술은 아버지 안에서만 스스로를 불러낼 수 있는 아들, 즉 삶을 확장할 때에만 스스로를 확장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최근 박태동 세계의 동향을 이해하는 데도 한 흥미로운 참조가 될 수 있다.

    박태동은 자신에게 지난 수년 간의 삶은 지난한 것 이었다 했다. 모든 사회적 활동들을 중단하진 않았지만, 혼돈스러웠고, 의미가 고갈된 듯 한 무력한 시간을 보내야 했으며, 특히 ‘창작작업’에 몰입할 수 없었다고 했다. 박태동은 이를 자신이 어떤 먼, 그러나 불가피했던 길을 돌아 다시 자신의 자리에 돌아와 있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번 작품들은 바로 그 돌아옴, 회귀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문맥을 공유한 것들이라 했다.
    작가의 말을 들으면서 나는 삶과 예술 사이의 단속점, 붙었다 끊어지거나 끊어졌다 다시 붙는 지점, 직류와 교류가 교차하는 사(死)구간, 종말과 출생의 접점, 그리고 바로 그 곳에서 삶과 예술의 관계성이 극명하게 드러나는 한 지점을 떠올렸다. 일테면, 삶에서 예술로, 미에서 일상으로 전환되면서 결국 삶의 비약적 확장이 발생하는 순간, 그것이 오랫동안 결여되었을 때, 예술은 고작 직업적 매너리즘에 빠져버린 사회적 일정에 지나지 않는 것이 되고 마는 그러한 순간!
    내 생각이 맞다면 박태동은 지금 막 이 같은 순간을 통과해 온 것임에 틀림없다. 이는 작가가 이번 전시를 마치 잠시 전에 일어났던 어떤 갑작스런 파열의 현장 같은 것으로 만들려 하는 데서도 분명히 드러난다. 그리고, 이 파열의 현장은 그가 아직 정리할 만 한 충분한 시간을 가지지 못 한, 근접한 과거의 어떤 격한 경험을 다루고 있다는 반증일 수 있다. 이 힘, 격한 파열, 요동하는 힘의 불안정성, 아직 용기에 담아지지 않은 에너지로 밖엔 달리 표현하기 어려운-하고 싶지 않은-, 이 힘이야말로 삶에서 예술로 전환하는 단속점에서 파생된 것임에 틀림이 없다.
    당분간 조절되기 어렵고 억압되어선 안 될 이 힘에 의해 그의 세계는 선뜻 야생의 정원에 다가선다. 작가가 원하는 전시는 더 이상 한 두 개의 우량수종으로 단정하게 꾸며진 인위적 정원이 아니다. 오히려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삶을 영위해 온 잡목 같은 조각, 그리고 태생적으로 정방형 따위의 재단을 용인할 수 없는 자연의 들녘 같은 전시, 이야말로 박태동의 사유를 매혹하는 것이다. 따라서 결국 문제는 전시를 위선에 찬 기념식수처럼 식상해빠진 패턴으로 전락시키는 형식주의, 또는 기계주의적 접근이다.

    2
    박태동이 이번 전시는 많건 적건 흐트러져 있다. 전술했듯, ‘의도된 무질서’ 보다는 ‘질서 이전’으로 읽혀져야 더 옳을 그것들은 고정되어 있는 대신 파동적인 질서를 대변하고 있다. 그것들 하나하나는 불완전한 조각이거나 터무니없이 조각적이다. 철자법에 구애받지 않은 단어들 같기도 하다. 그것들은 독립성을 결여하고 있거나 과도하게 독립적이다(튄다). 그것들 상호간의 관계는 규범없이 불안하게 열려있다. 전시를 하나의 문장에 비유한다면, 이번의 것은 아직 교열을 마치지 않은 그것임에 틀림없다. 이는 주목해야 할 변화가 아닐 수 없다. 이제까지 박태동의 세계는 군더더기 하나라도 놓치지 않는 세심한 정리, 치밀한 내적 정련과정을 거친 정제된 언어들, 압축된 그러나 서정적인 리듬감으로 주조되어 왔기 때문이다.
    이전에 물성(物性)은 그의 세계의 중심 축 같은 것이었다. 그의 세계가 지나치게 서정편향으로 기울어지거나 문학적 텍스트화하지 않도록 지탱하는 지지대이기도 했다. 작가는 누룩처럼 번져나가는 감정과 단어들의 운명적인 결함인 가벼움을 12mm 두께의 철판으로 조절하곤 했던 것이다. 그러나 정제된 언어, 균형은 그의 세계에서 더 이상 필연적인 요인이 아니다. 이제 박태동은 그토록 정교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고 있다. 더 가벼워지거나 한 쪽으로 치우쳐도 무방할 것이다. 물성에 관해선 엄격했지만, 그의 사유는 이제 일련의 반물성(反物性), 곧 알루미늄의 표면이 주는 매력적인 은빛의 광택과 뒤섞인다. 이 적절하게 반짝거리는 은빛 광택은 그 자체가 너무 매력적이어서 물성뿐 아니라 내러티브까지 삭제해버리는 효과가 있다.
    이 은은하고-작가의 표현을 빌자면 ‘잘난 척 하지 않는- 고상한 광택은 반물성적일 뿐 아니라, 반조각적이며, 도시적이고 여성적이며 오로지 자기참조적이다. 이 광택으로 자신의 반신상을 채색했을 때, 이 반물성이 지향하는 바가 무엇인가가 보다 분명하게 드러났는데, 그것은 이제까지 지나치게 자신을 규정하고 있었던 과도한 서정성을 완화, 견제하는 것이었다. 이 광택으로 인해 반신상의 표정에 베어있던 멜랑코리는 현격하게 중화된다. 알루미늄으로 만든 꽃다발은 자신보다 더 위엄있는 검정 조각대 위에서 의도하진 않았지만 더욱 반동적인 담론이 된다. 이렇듯, 박태동의 세계에선 전통적인 기호가 뒤집히고, 상쇄적인 질서가 병렬된다. 그것들이 만들어내는 역설적인 풍경은 기꺼이 질서와 안정 밖의 야생이다.
    해방과 자유의 선언이 궁극은 아닐지라도, 박태동의 세계는 그것들을 동반한다. 실험이 목적은 아니었지만, 그의 전시는 일련의 실험을 내포하고 있다. 이렇듯, 자신에게 낯설었던 개념에 자신을 열어 가는가 하면, 다른 한편으로는 진부해 보이는 인물소묘에 여전히 이끌린다. 더군다나 재료나 물성도 그에게 항구불변의 정수가 아니다. 석고, 나무, 철, 알루미늄이 있고, 오브제와 반(反)오브제, 설치적 개념이 병존한다. 완전히 파열적인-혹 해체적인- 형태들을 수용하는가 하면, 여전히 사각형, 정방형을 내포하는 고답적인 추구도 있다. 역시 그것이 목적은 아니지만, 모든 것들이 혼재되어 있다.
    그는 이제 제한받지 않는다. 자신을 제한하지 않은, 자신의 욕망을 조절하지 않은 결과다. “왜 그래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이 시사하듯, 그의 세계는 이전보다 훨씬 덜 콤플렉스적이다. 작가가 ‘거기’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어떻데 보면, 조각도 콤플렉스가 낳은 규범들의 총체에서 그 무엇이 다르랴. 해서 박태동은 ‘마치 처음인 것처럼’ 다시 혼란스러운 삶으로부터 추동되는 자신의 이 비약을 ‘축제’라고 표현하고 싶어하는 것이다. 나도 그렇게 부르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사실 우리 모두가 축제를 그리워하지 않는가?




    The Scene of Wild Life and Festival with "Sculpture"
    Shim Sang-Yong( Ph.D in Art History, Professor at Dongduk Women's University)

    1.
    Although we have denied on, the desire of art always has been life. It was life too that add father complex, alienation, the fear of castration and paranoia to art. The art resembling unsatisfied and disobedient teenager, the thesis of such discontinuation have been paradoxically testified the love and hate of art for life. Art only can manifest itself in the hypothesis of existence that is a pointed angle and tension against the life. Look at the familiar duel of the existentialism and the greed for beauty that once allowed the golden period of art. You can not make up rhetoric when life is in urgency. Life is just a buzz when you indulge yourself in significant form. The word of beauty goes on: existence drives out beauty a! nd the beauty must give existence the back in result.  
    So, you could have yelled everybody to destroy the bridge of the usual life and burn the boat out. It is no matter how to define the life at present as troublesome mess or the ever existing paradise: you may be a boat toward the life or you may destroy the boat. What is important is that art has a father-whether a stepfather or a merciful father-and art only can define itself within such complex relationship to its father. That is to say, art is a son who can be summoned in that only father: art can expand itself only when it expand the life. That would be also an interesting reference to understand the trend of Park, Tae-dong's work.  

    Park, Tae-dong confessed himself those past few years had been tough. Though he had not stopped all social activities, he said he has been confused and extinguished meaning in himself drifting on tide, especially could not have indulged himself in 'creative work'. Park, Tae-dong understood these as an inevitable journey returning to himself. And, he told his works showing now shared the undetachable context of the very returning. 
    Listening to the artist's story, I recall a spot: where it comes and goes between life and art; where it connects and disconnects; a dead section where electrical D.C. and A.C. are crossing over; a contingency point of death and birth; where the relationship of life and art reveals drastically. Say, it is a final moment of explosion of life toward art, from beauty to usual life; a moment when it remains void, art becomes a mere social schedule left in occupational mannerism!
    If my thought is right, Park, Tae-dong must be just passed such moment. That is evident in his show which he wanted to make a location of a certain rapid explosion. And this location of explosion paradoxically testifies that he deals with the recent torrents of feelings which he had not enough time to clear. This power, abrupt burst, unstable wave of twitching momentum, unspeakable but else the energy before tanking must be derived from the switch point from life to art. So far, by this unstable and unruly power, his world comes a step closer to the wildlife garden. The show that the artist wants is not an artificial tidy garden with the one or two kind of super trees. In contrast, a sculpture like a shrub continued its own t! ype of life, and the show like the open yard in nature that can not ignore the rectangular cut, which is attracting Park, Tae-dong's thought. Therefore the ultimate question is about approaching attitude toward formalism or mechanism that wither exhibitions away like effected monumental tree planting.
    2.
    Park, Tae-dong's show now is somewhat untidy. As written above, the works rather be read as 'before-order' than 'intended-chaos' and manifest waving order instead of  fixation. Each of work is whether presents an incomplete sculpture or a nonsensically sculptural form. It seems like the words free from spelling. They are lack of independency or too much independent(spiky). The relationship among them is open unsafely without regulation. Compared to a sentence, this show must be one before proofreading. That should be a change to take a notice. For, so far, the world of Park, Tae-dong has been cast in pinpointing arrangement, crystallized language of inner refining and compact yet lyrical rhythm. 
    Before this show, materiality was a kind of axis of his world. It was a stand to hold his world from too much leaning to lyricism or rhetorical text. The artist used to control yeast of spreading feelings and fatal lightness of words through thick twelve millimeter steel plate. However, the refined language and balance is not a critical factor in his world any more. Now he thinks it is all right that his work has no need to be such an elaboration. It may be all right to be lighter or to be leaned aside. Though he was strict with the materiality, his thought is now mingling with a series of anti-materiality, the adorable shimmering of silver tone on the aluminium surface. The suitability of shimmering silver tone itself is so ! much attractive to erase the narrative off.
    Such shimmering-according to his word, 'not showing off'-and noble tone is not only anti-material but also anti-sculptural, urban, feminine, and solely self-referencing. When he covered his self-statue with this tone, it became clear that this anti-materiality directed; to soften and control too much lyricism that defined himself too tight. For this shimmering tone, the melancholy in his statue is strikingly neutralized. An aluminium bouquet is unintendedly become a discourse of anti-thesis on the black pedestal which is more dignified than the work. Thus, in the world of Park, Tae-dong traditional sign become a turnover and confronting orders are flanked together. The paradoxical scene they make is glad of the wildlife beyond order and safety.
    Though it may be not the manifestation of independence and freedom, Park, Tae-dong's world accompany them. Though experiment was not his goal, his show keeps a series of experiments. Likewise, he opens himself to the estranged concept: on the other hand, he drive himself to figure modeling that appears to be old fashioned. Moreover, not matter nor materiality is a permanent constancy for him. They are together with plaster, wood, steel, aluminium, object, anti-object, and installation concept. When he accepts totally explosive-deconstructive-forms, he also pursues academical square or cubical forms on the other hand. Once again, though it is not his goal, there are all mingled down.
    He permits no regulation to himself. It is a result of not restraining himself nor controlling his desire. As seen in the question of "Why do I have to?", his world has surely less complex than before. That is because the artist has reached "there". Talking in a sense, what would be different a sculpture from the gestalt of complex product? That is why Park, Tae-dong wants to describe his leap from his confused life as like a ever first festival. I also consider it is right to call it so. In fact, all we are missing a festival, aren't we?